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10월 10일 시작되어 총 1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의견 수렴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산림청님의 의견정리2018.11.19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의견 수렴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국민 여러분의 의견수렴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 산림청 공공데이터와 타기관의 어떠한 공공데이터와


         "융합"하면 국민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의견을 주세요



<의견수렴 결과>


의견1)  등산로(산림청, 지자체)+탐방로(국립공원관리공단)+


           기상정보(기상청)+산악기상정보(산림청)+입산통제구역


          (산림청 및 국립공원관리공단, 지자체)



 의견2) 약용식물정보+임도망도+임상도(산림청)



 의견3)  o 산지, 사유림정보(산림청)+토지정보시스템(국토교통부) 


             o 등산로, 숲길정보(산림청)+도로망도(국토교통부) 



 의견 4) 둘레길, 등산로(산림청)+본인 위치정보(표지판 번호 등) 



 의견 5) 등산로?둘레길의 산불취약지점 및 과거 산불 발생지점 등


           (산림청)+기상정보 어플(기상청) 공유



 의견 6) o 데이터 개방+구글어스 등 입체적 데이터(dem), 등산로데이터


              +고도데이터
            o 임야도, 임상도+고도자료(dem)



 의견 7) 날씨(기상청)+당번 약국, 병원, 숙박, 음식, 문화관광 등


           (지자체사이트)+트래킹, 산행(예: 난이도, 산의 지형, 위험도 등)


           관련 사이트(해당 지역)+특산품 판매처(지역별)


 
 의견 8) o 개방 데이터 1차 선호도조사 결과 및 추가개방 의견+


              북한산림 등 관련데이터 융합 필수  



 의견 9) 지자체 공공데이터+산림청 공공데이터 공유



 의견 10) 등산로, 둘레길, 병해충발생, 산불발생지역정보 등 구글어스


             에서 KML(KMZ) 파일 변환 다운로드 가능토록 건의



 의견 11) 숲길체험지도사 실습시 ‘양구펀치볼둘레길’ 방문, 응급


             상황 대비 군부대 응급실과 연계가능하도록 건의


신규 산림공공데이터 개방 계획과 산림공공데이터 중장기('19년~

'23년) 이행전략에 반영하여 추진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주신만큼, 산림청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품질향상 및 수요자 중심의 개방, 데이터 품질관리 등 활용을 위한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선호도 조사』1차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 1) 개방 산림공공데이터 10개 중  3개선택, 선호도 조사 결과

* 순서(순위-개방 공공데이터명-비율-응답자수(복수선택)

총 참여자수 221명

1순위: 둘레길, 73%, 162명                      

2순위: 등산로, 64%, 142명                      

3순위: 숲에 사는 식물정보, 43%, 95명       

4순위: 산정보, 33%, 73명                       

5순위: 산불위험 에보, 26%, 58명             

6위: 약용식물정보, 24%, 53명

7위: 산불발생 위치도, 17%, 38명

8위: 임도망도, 14%, 30명

9위: 임산물생산조사 통계, 10%, 23명

10위: 임상도, 8%, 17명


(질문 2) 신규로 개방을 원하는 데이터 국민의견 결과

1. 등산로 비탐방구역도 개방 확대                 

2. 산림병해충 발생 구역도 및 방제구역도 개방   

3. 산 표고도 및 높이 개방                            

4. 개방 데이터에 대한 충분한 안내 및 홍보  

5. 숲에 사는 곤충에 대한 개방                      

6. 약용식물정보는 무분별한 산림훼손 우려

7. 산에 사는 동물정보 제공

8. 산에 대한 종합정보 포털 제공

9. 재선충 등 각종 병해충의 정보 공개

10. 휴양문화 정보와 산불관련 재해분야 개방   


□ 이에 1차 의견을 토대로 좀 더 발전시키고자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을 위해 아래와 같이  국민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토론 주제 】

산림청 개방 공공데이터와 타기관의 어떠한 공공데이터와 '융합'하면 국민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의견을 주세요.

(예) 산림청 등산로 + 기상청 날씨 정보


※ 산림청 및 타기관의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공공데이터 포털 (http://www.data.go.kr)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