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배경
-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을 둘러싼 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정책홍보와 국민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기관의 소셜미디어 활동 또한 질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음
ㅁ 목표
- 소셜미디어를 통한 산림청 온라인 홍보 및 대국민 정책소통 활성화
ㅁ 산림청 온라인 홍보 활성화 방안
① 내부 협업 홍보
o 직원 중심의 온라인 홍보 통신원 제도 운영
- 소속기관 직원이 홍보 통신원으로 참여하여 자발적인 콘텐츠 제공
- 통신원 교육 및 역량을 강화하여 콘텐츠 개발 능력 제고
o 온라인 홍보 플랫폼 구축
- 본청과 소속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콘텐츠와 정보 공유
- 사진, 영상 자료들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 마련
② 외부 협업 홍보
o 숲 관련 온라인 서포터즈 또는 기자단 운영
- 사진, 영상 관련 아마추어, 준전문가, 등산 마니아 등과 협업
- 대학생 기자단, 일반인 등을 서포터즈 또는 기자단으로 활동
o 산림문화 관련 업체와 협업홍보
- 숲 관련 내용을 출간한 출판사와 협업하여 산림청의 콘텐츠 출판
- 에코 용품업체, 아웃도어용품 업체 등과 이벤트 및 행사제휴
o 인터넷방송국과 협업홍보 및 친밀한 사용자 만들기
- 1인 방송 창작자 등 MCN 크리에이터와 협업
- 산림청 SNS에 자주 방문하는 사용자들과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
③ 콘텐츠 개발 전략
o 산림청 SNS 운영자 목소리의 정체성 변화
- 블로그 및 SNS 답글에 정성을 다하는 실무자의 목소리 전달
- 이모티콘, 캐릭터 등을 사용하여 자유롭고 부드러운 분위기 조성
o 직원들이 직접 찍은 아름다운 사진, 영상 콘텐츠 개발
- 산림청 SNS는 산림청 구성원 모두의 이미지라는 관점 부각
- 산림청 직원, 숲과 나무 등 다양한 소재를 기반으로 홍보
④ 채널 전략
o 블로그 : 진정성 있는 댓글과 운영자의 답글 필요, 읽기 편안한 내용 및 구성 등 검색엔진에 최적화된 블로그 운영 필요
o 페이스북 : 카드뉴스와 짧은 영상 등 스마트폰 환경에 맞고 젊은 세대들이 좋아하는 재미있는 콘텐츠 개발
o 트위터 : 실시간의 트윗 공유를 통해 확산되는 장점을 활용하고, 이미지나 영상을 함께 게시(산불, 산사태 등)
o 인스타그램 : 젊은 층 사용자 증가에 대응, 해시태그 활용 및 개발과 스마트폰을 감안하여 디자인과 편집이 중요
o 유튜브 : 동영상을 등록할 때 검색에 잘 노출되도록 제목과 동영상 설명을 상세히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