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9월 07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위성자료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기상청님의 의견정리2018.09.20

천리안위성 2A호의 발사를 앞두고 기상위성자료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의견을 정리한 결과입니다.


총 참여인원 21명 중

57.1%의 응답자가 위성자료를 실황감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58.1%의 응답자가 기본위성영상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천리안위성 2A호가 천리안위성과 비교 하였을 때, 공간 및 시간해상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천리안위성 2A호의 서비스 후 많은 위성자료 사용자들이 만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응답자 중 높은 비율로 구름탐지, 운형,운량,강수확률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천리안위성 2A호 산출물 개발 중요도를 선정함에도 많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현재 천리안위성 1호의 산출물표현 방식에 만족하고 있으며, 산출물의 개수는 1호에 비해 많이 증가한 52개에 대해서는 적당한 개수로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이 외 주관식으로 답변 건의사항 내용도 참고하여,

더욱 더 예보와 실황감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산출물을 개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입니다.


국가기상위성센터는 2010년 천리안위성 1호의 성공적인 발사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위험기상감시, 수치예보의 활용자료 제공, 아시아-태평양 국가 서비스 제공 등 선진국 수준의 운영으로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해 왔습니다.


천리안위성 1호의 본 계획된 수명은 8년이었으나, 발사 후 지금까지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임무 종료 시기를 2년 더 연장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이에 기상청은 천리안위성 1호의 후속 위성인 천리안위성 2A호를 개발하였고, 올해 12월 발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천리안위성 2A호는 발사 후 약 1년 동안 궤도상 시험운영을 수행한 후에 정식 서비스가 될 예정입니다. 이에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위성자료의 소비자들의 기상위성 및 후속기상위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자합니다.


잠시만 시간을 내시어 더욱 내실 있고 유용한 기상위성자료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위성자료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 및 건의사항 등을 자유롭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