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9월 07일 시작되어 총 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향후 FTA 추가 협상에 대한 의견수렴"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18.10.07

ㅇ FTA 농업협상에서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노력하고, 또한 우리 농산물 수출 활성화에 노력

ㅁ 우리나라에서 FTA의 필요성

ㅇ 무역을 통한 경제발전과 성장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게는 열린 세계 시장이 유리 

- 지역주의 추세가 가속됨에 따라 WTO 체제에 의존하기에는 위험성이 큼

- 양자 간 FTA를 통한 빠른 경제 개방으로 수출증대, 경쟁력 제고

ㅇ 우리나라의 높은 무역의존도(수출액+수입액 / GDP, 단위 %, '16년)

- 한국(63.9), 미국(20), 일본(25.4), 중국(33.3)


ㅁ 우리나라 FTA 추진 현황

ㅇ 우리나라 FTA 체결 및 발효 : 15건 52개국('18.8월 기준)

ㅇ 우리나라 '18.1~6월 전체 수입은 177억6천만 달러,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53억7천만 달러로 86.5% 차지

  

ㅁ 우리나라의 농업협상(FTA) 대응방향

ㅇ 우리 농산물의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피해를 줄이고,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 해소에 적극 노력

-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 및 농식품 수출 등을 고려한 FTA 협상 추진

- 양자, 다자간 FTA별 차별적 대응 전략 추진으로 우리의 이익 극대화


ㅁ 향후 FTA 추가 협상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

ㅇ 정부는 2003년이래 적극적으로 FTA를 추진해 왔음

- 특히 거대경제권과 자원 부국 및 주요 거점 경제권을 중심으로 전략적인 FTA 체결 확대 전략을 통한 FTA 네트워크를 구축

-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세계시장 확보를 지원하고, 동아시아 FTA 허브 국가로 발돋음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FTA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의 이해와 지지가 필요함

- FTA 협상(농업협상)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소통강화 및 협상에 반영 노력 강화

사용자업로드이미지
  • 참여기간 : 2018-10-01~2020-03-03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기타
  • 그 : #FTA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