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9월 06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대한민국 기상레이더 관측 50년, 어떻게 홍보하면 좋을까요?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기상청님의 의견정리2018.09.30

기상레이더에 대한 깊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국민 여러분께서 주신 의견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o 홍보내용


  - 기상레이더 원리, 장비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


  - 기상레이더 정보 중요성 및 활용방법


 


o 홍보방법


  - 홍보물 제작: 동영상, 팜플렛, 포스터


  - 언론광고: TV·중간광고, 지면광고, 날씨뉴스 내 홍보문구 삽입 등


  - 모바일 앱 등 홍보문구 삽입


  - 온라인 홍보: SNS, 블로그 등


  - 교육프로그램 운영: 견학·체험프로그램, 세미나, 행사 부스 운영 등

기상레이더는 전파를 대기 중에 발사하여 강수 입자에 부딪혀 산란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분석하여 강수 구름의 위치, 강우 강도, 이동속도 등을 탐지하는 기상관측장비입니다. 우리나라와 주변 해상에서 발달하는 집중호우, 폭설, 태풍 등을 5분 이내의 짧은 시간 동안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우리나라의 기상레이더 관측은 1969년 11월 기상청이 제1세대 기상레이더(비(非)도플러 레이더)를 서울 관악산에 설치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백령도에서 제주도까지 전국에 10대의 현업용 기상레이더를 추가로 설치하여 총 11대로 구성된 기상레이더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관악산 기상레이더(제1세대)
<관악산 기상레이더(제1세대)>

* 현재의 관악산 기상레이더는 제3세대 기상레이더(이중편파 도플러 레이더)입니다.


2019년은 기상청이 기상레이더 관측을 시작한 지 50년, 반세기를 맞이하는 뜻깊은 해가 됩니다.


기상레이더 관측 50년을 기념하면서 기상레이더의 역할과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국민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홍보내용>

o 기상레이더 장비, 정보 서비스 변천사

o 기상레이더 원리, 역사

o 기상레이더 정보 활용 방법

o 기상레이더 정보 서비스 개선효과

 

<홍보방법>

o 홍보물 제작·배포

  - 홍보동영상 제작

  - 기상레이더 50년사 발간

  - 홍보 팜플렛 제작, 기상레이더관측소 인근 등산로 입구/산장 비치

  - 기상레이더 50년사를 간략히 담은 포스터 제작

 

o 기존 매체 활용

  - 날씨뉴스, 모바일 앱 등을 활용한 홍보문구 노출

  - 방송 중간광고 형식의 홍보동영상 상영

  - SNS 활용 홍보

  - TV, 라디오, 신문 등 언론 활용 광고

 

o 교육프로그램 운영

  - 과학교사 대상 기상레이더관측소 견학프로그램(교육청 협조)

  - 학생 대상 직업체험교육(교육청 협조)

  - 국민 대상 세미나

  - 과학축전 등 관련행사 부스 운영


이외에도 추가 의견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