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8월 24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목재제품을 사용하면서 불편한 점, 국민들의 소리를 듣고자 합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산림청님의 의견정리2018.09.20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목재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목재제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플라스틱 및 금속가공의 발전으로 예로부터 사용해오던 목재제품이 주변에서 많이 사라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대두되면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목재제품 또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목재제품은 친환경 소재로써 나무가 살아있을 때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제품의 형태로 장기간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략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언론에서나 주변에서 목재제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진다고는 하지만 현실에서 목재제품 보다는 아직까지 플라스틱, 철제 제품을 선호합니다.


본 생각함을 통해서 국민들이 생각하는 목재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시 불편한 점 및 바라는 점에 대해 듣고자 합니다.


① 목재제품 VS. 플라스틱 및 철제 제품 중 국민들이 선호하는 소재는 무엇이며 그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십시오.


② 생활 주변에 목재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십니까?


③ 목재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가장 불편한 점이 무엇입니까?


④ 목재제품에 대한 정확한 품질 정보와 제조과정에 대해 듣거나 알고 계십니까?


위 직문들의 답변을 통해 많은 분들이 목재제품을 선호하시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에반해 다른 플라스틱 및 철재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무겁다는 단점으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목재제품에 대한 정확한 품질 정보와 제조과정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하셨는데, 목재가 가구나 씽크 제품으로 만들어진 이후에는 목재제품의 품질정보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2013년 이후부터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목재제품(15가지)에 대해 규격과 품질 기준이 엄격히 관리되고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DIY를 비롯한 목재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많으나 현실은 쉽지 않다고 하셨고, 자투리 목재 공유를 활성화 및 버려지는 목재의 재활용하여 나눠주는 플랫폼을 이용해 자원 재생산에 관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현재 목재 가공 연구과에서는 목재제품 빅데이터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으로 목재의 이용도 증진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 이러한 빅데이터 속에 상기 내용도 활용 가능한 지 적극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빅데이터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정보들이 있으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업로드이미지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목재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목재제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플라스틱 및 금속가공의 발전으로 예로부터 사용해오던 목재제품이 주변에서 많이 사라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대두되면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목재제품 또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목재제품은 친환경 소재로써 나무가 살아있을 때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제품의 형태로 장기간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략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언론에서나 주변에서 목재제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진다고는 하지만 현실에서 목재제품 보다는 아직까지 플라스틱, 철제 제품을 선호합니다.


본 생각함을 통해서 국민들이 생각하는 목재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시 불편한 점 및 바라는 점에 대해 듣고자 합니다.


① 목재제품 VS. 플라스틱 및 철제 제품 중 국민들이 선호하는 소재는 무엇이며 그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십시오.

② 생활 주변에 목재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십니까?

③ 목재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가장 불편한 점이 무엇입니까?

④ 목재제품에 대한 정확한 품질 정보와 제조과정에 대해 듣거나 알고 계십니까?


위 직문들의 답변을 통해 많은 분들이 목재제품을 선호하시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에반해 다른 플라스틱 및 철재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무겁다는 단점으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목재제품에 대한 정확한 품질 정보와 제조과정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하셨는데, 목재가 가구나 씽크 제품으로 만들어진 이후에는 목재제품의 품질정보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2013년 이후부터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목재제품(15가지)에 대해 규격과 품질 기준이 엄격히 관리되고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DIY를 비롯한 목재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많으나 현실은 쉽지 않다고 하셨고, 자투리 목재 공유를 활성화 및 버려지는 목재의 재활용하여 나눠주는 플랫폼을 이용해 자원 재생산에 관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현재 목재 가공 연구과에서는 목재제품 빅데이터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으로 목재의 이용도 증진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 이러한 빅데이터 속에 상기 내용도 활용 가능한 지 적극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빅데이터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정보들이 있으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업로드이미지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