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빈도 증가, 통합물관리 정책 추진 등 농업환경변화 따라 농업용수 이용현황, 필요수량 및 공급량 변화 파악의 필요성 증대2. 수혜면적 단위 농업용수 필요수량을 산정하는 방식에서 논/밭 비율, 작부시기 변화에 따른 재배관리용수 변화등을 고려하여 농업용수 수요 및 공급량 재산정3. 농업용수 수요 및 공급량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계측시설 설치 필요4. 환경변화 요수 등을 고려한 수리시설 한발빈도 10년 기준 내한능력 조사 필요5. 농업용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시설원예, 과수, 축산 등 4계절 용수공급과 농어촌 생활용수, 환경용수, 축제용수 등 지역용수 확보 등 다목적 이용방안 마련 필요
□ 목 적
○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빈도 증가, 통합물관리 정책 추진 등 농업 환경변화에 따라 농업용수
이용현황, 필요수량 및 공급량 변화 파악 필요
□ 현황 및 문제점
○ 농업용수 이용량은 수자원 이용량의 41%를 차지함에도 계측시설 설치미흡 등으로 명확한
이용현황 파악이 어려움
- 농업용수는 개별 급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농업용수 이용량은
자연조건에 의해 변동이 심하므로 이용현황 파악이 용이하지 않음
○ 농업용 저수지는 소규모로 전국에 산재되어 있으며, 시설의 노후화 문제로 시설의 기능이 저하
되고 있음
- 농업용수 공급의 성과지표인 수리안전답률은 60.9%이며, 총 저수량은 100만톤 이하의
소규모 저수지가 97.0% 차지
-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30년 이상 경과한 시설이 61.4%이며, 이 중 저수지(농업용수 공급량의
60%)의 경우 50년 이상 경과된 시설이 75.8%를 차
...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상의 D, E 안전등급의 재난위험시설물 및 중점관리대상(C급)에 대해, 붕괴 등의 사고위험 정도를 ... 추진 개선○ 각 지자체별 IOT감지센스 설치를 통한 실시간 계측으로 AI 정보시스템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한, 노후 위험시설물의 위험요인 사전 인지 등의 각종 재난예방과 안전관리업무의 활용을 통한 효율성 개선○ 각 지자체별 주요 위험시설물의 ...
... 양배수장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수리시설)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을 위한 주요한 ... 등으로 재해 위험이 높아지고, 농산물 안전의 관심 증대로 농업용수의 수질관리도 중요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모든 지표가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할 만한 성과지표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하니 1개를 선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향후 선택된 성과지에 대한 ...
... 소방용수의 체계적 관리 필요- 소화용수의 과학적 사용체계의 부재로 인한 오염수 통제 미흡5. 개선과정-상수도관 ... 총량 확인6. 기대효과- 화재현장에서 다수 소화전 사용으로 물공급 지연 현상을 미연에 방지, 대량의 용수사용으로 인한 인근주민 급수 중단 현상 예방 - 전체적 용수사용의 컨트롤을 통해 소방차량에서 점령가능한 소화전을 분산배치하여 신속하고 ...
... 바이오센서 분석체를 사용하여 SARS-CoV-2 중화 항체에 대한 양성 결과를 지정했다. 검출 원리, 계측기, 표적 항체, 활용시약, 샘플 부피, 컷오프 값 및 각 분석의 첫 번째 결과에 대한 시간은표 ... 전에는 백신접종은 선택이라고 하다가 이번에는 강제라고 하면서 3차 접종안하면 다중시설을 이용을 못한다고 선을 그어버리는건 객관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잘못됬다고 ...
... 활용(저수지, 댐 등)한 거점 재난용수 활용방안 마련○ 저수지 등에 재난소방용수 전용 취수설비* 설치 * 저수지 여건을 고려하여 관수로, 사이펀, 양수장치 등 설치○ 저수지, 댐 등 지표수의 재난용수 활용에 필요한 구체적 법제화 추진- 광역상수도가 설치된 도심지역에서의 소방용수 확보방안○ 광역상수도 제한급수 발동 시 소화전 대체 수원 확보○ 빗물저장 시설, ...
... 토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토양과 용수, 비료 등 농업환경의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그렇다면 ... 데이터: 토양 화학성 및 물리성, 비료사용, 농업용수 수질 등물론 이러한 자료는 흙토람(http:soil.rda.go.kr)을 통해서 토양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경지구분을 선택해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국민분들께서 이러한 자료를 어떻게 하면 쉽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을지 ...
... 차단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수산물이 생산공급될 수 있도록 꽃게흰다리새우뱀장어 등 38개 수산물에 ... 등 유해물질 검사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동사용하는 어장용수자재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합니다.2023년 상반기에 일본의 ... 있다고 생각되어 앞으로 질 좋고 안전한 수산물의 생산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아래 네가지 품종 중 안전성조사가 추가로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