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학생 비중을 2022년까지 30% 수준으로 확대하는 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고졸채용문화 확산 및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고교직업교육은 강화되어야 한다.
◼ 특성화고 유형을 다양화하고 학과 개편 등에도 미래 산업에 대비해 신축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일학습병행제도(자격연계형, 대학연계형)는 필요하다.
◼ 양질의 고졸 일자리 발굴이나, 직업교육 담당 교원의 역량강화가 우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