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경쟁이 심한 한국의 고등학교에서는 진학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과 그 경쟁가도에서 이미 뒤쳐져서 아예 학습에 대한 동기를 잃은 학생들로 양극화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일반고에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는 데 이러한 수업기피, 수업소외는 일반고의 슬럼화에 있어 중대한 문제로 볼 수 있다. 학업에서 뒤쳐진 많은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자거나, 졸거나, 참여를 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 jump up, 방과후 학교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현직 교사들은 수업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스스로 알아서 수업방식의 개선을 위해 고분분투하는 실정이다. 교사가 운영하는 수업방식 또는 수업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참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을 하면 일반고에서의 수업 혁신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원들의 학습공동체의 운영은 수업시간에 참여하지 않고 자는 학생들이 늘어가는 문제를 극복하는 데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일반고에서의 수업 혁신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원들의 학습 공동체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하여 온라인 토론을 제안하는 바이다.